

1951년 9월 13일 | 경기도 화성 출생 |
1969년 2월 | 서울 성신고등학교 졸업 |
1977년 2월 |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신학과 졸업 |
1979년 2월 |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대학원 졸업 |
1979년 3월 6일 | 사제 수품 |
1979년 3월 - 1980년 2월 | 수원교구 안성 본당 보좌신부, 안법고등학교 교사 |
1980년 3월 - 1981년 1월 | 성신고등학교 교사 |
1981년 1월 - 1981년 7월 | 수원교구 신장 본당 보좌신부 |
1981년 7월 - 1982년 3월 | 수원교구 수진동 본당 보좌신부 |
1982년 3월 - 1984년 2월 | 수원교구 정남 본당 주임신부 |
1984년 6월 - 1988년 9월 | 교황청립 라테라노대학교 성 알폰소 대학 윤리신학 박사 |
1988년 10월 - 2003년 3월 18일 | 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 |
1992년 3월 - 1994년 2월 | 수원가톨릭대학교 학생처장 |
1997년 3월 - 1998년 6월 | 수원가톨릭대학교 교무처장 |
1998년 6월 - 2002년 6월 | 수원교구 사제평의회 위원, 참사회의 위원 |
1998년 6월 - 2002년 6월 | 수원가톨릭대학교 총장 |
2000년 6월 - 2001년 10월 | 수원교구 시노두스 중앙위원 |
2001년 4월 - 2002년 6월 | 수원교구 사제평생교육위원회 위원 |
2002년 12월 10일 - 2003년 3월 19일 | 미국 보스턴 하버드대학교 연수 |
2003년 3월 7일 | 수원교구 보좌 주교 임명(카타붐 카스트라 명의주교) |
2003년 5월 14일 | 주교 수품 |
2004년 10월 14일 - 2010년 3월 10일 | 주교회의 교육위원회 위원장 |
2004년 10월 14일 – 2010년 10월 13일 | 주교회의 사회주교위원회 위원 |
2008년 10월 10일 | 수원교구 부교구장 임명 |
2009년 3월 30일 | 수원교구장 계승일 |
2009년 3월 30일 - 현재 | 주교회의 성직주교위원회 위원 |
2009년 3월 30일 - 현재 |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위원 |
2010년 3월 10일 - 2014년 10월 29일 |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 위원장 |
2010년 10월 13일 - 2014년 10월 29일 | 주교회의 사회주교위원회 위원장 |
2014년 10월 29일 – 현재 | 주교회의 생명윤리위원회 위원장 |
2014년 10월 29일 – 현재 | 주교회의 교리주교위원회 위원 |
2016년 10월 12일 – 현재 | 주교회의 서기 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상임이사 |
1. 상단에 위치한 주교 예모(禮帽)와 3단의 수실, 주교관, 십자가와 목장은 주교의 품위와 권위를 상징하며, 주교의 사목 임무와 사명의 근본을 이루는 ‘사도들의 후계자’(Apostolorum Successor)로서 그리스도와 긴밀히 결합된 주교의 표상이다.
2. 중앙의 방패는 교회를 수호하는 주교의 직무를 의미한다. 방패 상단의 적색은 자모이신 거룩한 지상교회를, 하단의 청색은 천상교회에서 아드님이신 그리스도와 함께하시며 영광을 받으시는 수원교구 주보이신 ‘평화의 모후’ 성모님을 상징한다.
3. 방패 왼쪽 상단의 흰 비둘기는 주교 축성 때 받은 성령을 통하여 교회의 목자로 세워진 주교의 ‘가르치며, 거룩하게 하고, 다스리는 순수한 임무’를 상징한다. 오른쪽 상단의 흰 목칼과 칼, 종려나무 가지는 수원교구가 순교자의 피로 씻겨지고 그들의 영광 위에 세워진 거룩한 교회임을 상징한다.
4. 방패의 적색과 청색을 구분하는 선은 수원 성곽(화성)으로 수원교구의 지역적인 특색을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흰색 원이 가운데 십자가를 중심으로 빛을 발하는 모습은, 성체성사를 통하여 교구민 모두가 ‘그리스도 안에서 일치’(UNITAS IN CHRISTO)를 이루고 수원교구가 파스카의 신비 안에서 세상의 구원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을 함축적으로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