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5년 6월 8일 |
부산 동래구 출생 |
1974년 2월 |
성신고등학교(소신학교) 졸업 |
1978년 2월 |
가톨릭대학교 신학부 졸업 |
1982년 8월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졸업 |
1982년 8월 26일 |
사제 수품 |
1982년 9월 - 1984년 5월 |
서울대교구 연희동 본당 보좌 신부 |
1984년 6월 - 1986년 6월 |
교황청립 우르바노대학교 교의신학
석사 |
1990년 4월 |
교황청립 우르바노대학교 교의신학
박사 |
1990년 9월 - 1991년 6월 |
영국 켄트 Institute of
St. Anselm 영성과정 연수 |
1991년 9월 - 2006년 1월 |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
1995년 - 1998년 |
가톨릭대학 성신교정 학생처장 |
1995년 6월 - 1997년 4월 |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총무 |
1998년 - 2004년 3월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성신교정 교학부장 |
1998년 10월 - 2005년 12월 |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총무 |
1999년 3월 - 2006년 10월 |
아시아주교회의연합회(FABC)
신학위원회 위원 |
2001년 1월 - 2003년 |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생명윤리연구회
위원 |
2002년 3월 7일 - 2004년 3월 |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신학위원 |
2003년 2월 5일 - 2004년 3월 |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상임위원 |
2004년 2월 9일 - 2009년 2월 |
교황청 신앙교리성 국제신학위원회
위원(5년 임기) |
2004년 3월 18일 - 2006년 3월 |
주교회의 사무처장 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사무총장 |
2005년 10월 - 2010년 3월 10일 |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위원 |
2006년 1월 3일 |
서울대교구 보좌 주교, 엘레판타리스 인
프로콘술라리 명의 주교로 임명 |
2006년 1월 25일 |
주교 수품 |
2006년 – 2014년 2월 4일 |
서서울 지역 담당 교구장 대리 주교 |
2006년 – 2014년 2월 4일 |
서울대교구 청소년 담당 교구장 대리
주교 |
2006년 10월 – 2012년 12월 |
아시아주교회의연합회 신학위원회 주교
위원 |
2006년 10월 - 2010년 3월 10일 |
주교회의 청소년사목위원회
위원장 |
2007년 1월 - 2010년 3월 10일 |
주교회의 선교사목주교위원회 위원 |
2007년 10월 – 2014년 2월 |
주교회의 성직주교위원회 위원 |
2010년 3월 10일 – 2016년 3월 15일 |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위원장 |
2010년 3월 10일 – 2016년 3월 15일 |
주교회의 교리주교위원회 위원 |
2014년 2월 4일 – 2016년 3월 31일 |
서울대교구 총대리 |
2016년 3월 15일 - 2018년 3월 7일 |
주교회의 평신도사도직위원회 위원장 |
2016년 3월 15일 – 2018년 3월 7일 |
주교회의 선교사목주교위원회
위원 |
2016년 3월 31일 |
원주교구장 임명 |
2016년 5월 25일 |
원주교구장 착좌 |
2017년 10월 19일 – 현재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감사 |
2018년 3월 7일 – 현재 |
주교회의 교리교육위원회 위원장 |
2018년 3월 7일 – 현재 |
주교회의 교리주교위원회 위원 |
|
|
수 상 |
|
- 제9회 가톨릭학술상
본상 |
|
|
|
저 서 |
|
- 「마리아, 은총의 어머니」, 가톨릭대학출판부, 1998. |
- 「원죄론 - 인류의 연대성, 죄의 보편성」,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0. |
- 「시원 종말론」, 가톨릭교리신학원, 2003. |
-
「신-삼위일체론」, 가톨릭교리신학원, 2005. |
- 「신-삼위일체론」, 가톨릭교리신학원, 2005. |
- 「하느님 나라」, 가톨릭대학출판부, 2005. |
|
|
역 서 |
|
-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요약」(G. 달 사쏘, R. 꼬지 저), 공역, 가톨릭대학출판부,
1993. |
- 「종말론」(프란츠 요셉 녹케 저), 성바오로출판사, 1998. |
- 「내적 치유를 위한 성서의 오솔길」(빅터 M. 파라친 저), 바오로딸, 2001. |
- 「하느님의 다스림과 하느님 나라」(루돌프 슈낙켄부르크 저), 공역, 가톨릭출판사, 2002. |
- 「주님의 기도 - 예수 그리스도 이해를 위한 열쇠」(하인츠 쉬르만 저), 가톨릭대학출판부, 2004. |
|
|
논 문 |
|
-
“교회가 바라보는 세상”, 「신학과 사상」 제14호(1995/12), 5-47쪽. |
-
“예수 그리스도와 하느님 나라”, 「신학과 사상」 제18호(1996/겨울), 78-121쪽. |
- “교의신학 관점에서의 인간 생명 존엄성의 문제 고찰”,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7호, 5-33쪽, 가톨릭대학출판부, 1992.6. |
-
“구약성서와 후기 유다이즘에 나타난 하느님 나라”,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8호, 147-178쪽,
가톨릭대학출판부, 1992. 12. |
-
“하느님과 맘몬”,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10호, 5-34쪽, 가톨릭대학출판부, 1993. 12. |
-
“교회가 바라보는 세상 - 구원론적 관점에서”,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14호, 5-47쪽,
가톨릭대학출판부, 1995. 12. |
-
“기도에 관한 신학적 성찰”, 최윤환 신부 회갑 기념 논문집, 413-471쪽, 1995. |
-
“예수 그리스도와 하느님 나라”,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18호, 가톨릭대학출판부, 1996. 겨울. |
-
“가톨릭 대학과 신학생들의 졸업 논문에 나타난 신학적 관심사에 대한 고찰”,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20호, 90-170쪽, 가톨릭대학출판부, 1997. |
-
“그리스도교의 죽음 이해”,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21호, 가톨릭대학출판부, 1997. |
-
“그리스도 나라와 하느님 나라”,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24호, 109-154쪽, 가톨릭대학출판부, 1998. |
-
“세기말 현상으로서의 지구 최후 종말에 관한 예언들과 희망으로서의 그리스도교 종말론”,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28호, 가톨릭대학출판부, 1999. |
-
“성 아타나시오의 「말씀의 육화론」의 신학적 중요성”, 「사목연구」, 제7집, 177-223쪽, 1999. 12. |
-
“교부들과 하느님 나라”,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31호, 89-118쪽, 가톨릭대학출판부, 2000. |
-
“다종교 현상과 가톨릭 교회”, 「선교」 제11호(2001/가을), 38-55쪽. |
-
“교회 역사에 나타나는 ‘하느님 나라’에 관한 이해”,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41호,
144-175쪽, 가톨릭대학출판부, 2002년 |
-
“신앙과 하느님 나라”,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45호, 141-179쪽, 가톨릭대학출판부, 2003년 |
-
“기도와 하느님 나라”,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46호, 146-200쪽, 가톨릭대학출판부, 2003년 |
-
“가톨릭 교회의 성화론”,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48호, 97-122쪽, 가톨릭대학출판부, 2004년 |
-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론에 관한 고찰―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Lumen Gentium)을 중심으로”, 「가톨릭
신학과 사상」, 제50호, 7-45쪽,
가톨릭대학출판부, 2004년 |